CS

CS

ADS

AF

CS

AA

AAAAA

CS/HTTP

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

🟢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-> 리소스를 식별하는 방법이다. (주민번호로 사람을 식별하듯이) 🟢URI vs URL vs URNURI는 로케이터(locator), 이름(name) 또는 둘다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.그럼 로케이터(locator)는 뭐고 이름(name)은 뭐지??그림을 보면, URI 라는 가장 큰 개념이 있다. URI는 위에서 말했듯이 리소스를 식별하는 방법이다. 그리고 이 방법에는 크게 2가지가 있는데, URL 과 URN 이다. 예를 들면, 공부중인 코생아에서 공부중인-> 로케이터, 코생아->네임이다.하지만 네임 리소스로 맵핑되는것이 어려운 점이라 거의 URL만 쓴다고 한다. 🟣 URI Uniform :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Resource : 자..

CS/HTTP

TCP와UDP

🟢TCP (전송 제어 프로토콜)TCP 프로토콜는 IP 프로토콜의 문제점인 패킷이 순서대로 안 가거나, 패킷이 가는 도중에 손실되는 문제점을 보완해준다. UDP는 직접적인 해결을 해주지는 않지만, 도움이 되는 부분이 있다. Hello 라는 메세지에 TCP 정보를 씌우고 ,그 외부에 IP와 관련된 데이터를 또 씌운뒤에,맨 마지막에 이더넷 프레임 이라는 게 씌워져서 최종적으로 나간다.이더넷 프레임은 렌카드에 포함된 Mac 주소 같은 거다. TCP는 IP보다 먼저 씌워진다. TCP의 특징은,🟣연결지향 즉, 상대가 연결되었는지를 확인한 후에 메세지를 보낸다.이것이 3way-handshaking이다. 클라이언트가 접속요청 SYN메세지를 보냄 ( 이때 서버측에서 응답이 없으면 메세지 보내지 않음)서버측에서 요청을..

CS/HTTP

IP(인터넷 프로토콜) 이란 무엇일까.

웹과 HTTP는 모두 인터넷 망 기반으로 동작하고 개발자는 HTTP기반으로 개발하므로 HTTP지식을 모르면 안된다는 것이다.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관계가 케이블로 연결될 수 만 있다면 http가 필요없다.하지만 물리적으로 가능한 범위에서만 통신하지는 않는다. 그렇다면 인터넷을 사용해야만 되는데, 이 클라이언트와 서버사이에는 수많은 중간 노드를 거쳐 연결되게 된다.이 중간 노드를 거치는 사이에는 규칙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인터넷 프로토콜, 즉 IP이다.그 규칙은 IP주소를 통해서 연결이 가능해진다.  패킷은 IP통신의 데이터 단위인데, 이 패킷으로 메세지를 주고받게 된다. 그러니까 IP패킷은 출발지IP주소와 도착지 IP주소가 담겨진 것이다. 이 IP주소를 보고 목적지 서버에 전달되는데, 반대쪽도 동일하게 IP..

CS/HTTP

GET 과 POST 의 차이점

GET 이란? GET 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어떠한 리소스로 부터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서드이다. 예를들면 게시판의 게시물을 조회할 때 쓸 수 있다.GET을 통한 요청은 URL 주소 끝에 파라미터로 포함되어 전송되며, 이 부분을 쿼리 스트링 (query string) 이라고 부른다.방식은 URL 끝에 " ? " 를 붙이고 그다음 변수명1=값1&변수명2=값2... 형식으로 이어 붙이면 된다.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이다. www.example.com/show?name1=value1&name2=value2서버에서는 name1 과 name2 라는 파라미터 명으로 각각 value1 과 value2 의 파라미터 값을 전달 받을 수 있다.   GET의 특징GET 요청은 캐시가 가능하다.  : GET을 ..

CS/etc

팩토리얼 함수 구하기

문제 설명 i팩토리얼 (i!)은 1부터 i까지 정수의 곱을 의미합니다. 예를들어 5! = 5 * 4 * 3 * 2 * 1 = 120 입니다. 정수 n이 주어질 때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가장 큰 정수 i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i! ≤ n 제한사항 0

자바걸
'CS' 카테고리의 글 목록